몸에 아무 문제없던 나, 예상치 못한 진단
나는 건강검진을 대충 넘기는 편이었다.
“나는 특별히 아픈 곳도 없고, 운동도 가끔 하니까 괜찮겠지.”라는 생각이 컸다.
하지만 회사에서 매년 받게 되는 정기검진은 어쩔 수 없이 참가하게 되어 있었고,
그중에서도 나는 갑상선 초음파를 올해 처음 받아보게 되었다.
기대도 걱정도 하지 않은 채 초음파를 받았고,
검사 결과가 나왔을 때 의사의 말이 아직도 생생하다.
“갑상선에 1.2cm 크기의 결절이 있습니다.”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그때 처음 ‘결절’이라는 말을 들었다.
‘결절? 혹 같은 건가?’, ‘혹시 암일까?’
내 머릿속은 수많은 걱정으로 복잡해졌다.
갑상선 결절이란? 꼭 위험한 건 아닙니다
갑상선 결절이라는 말은 갑상선 내부에 생긴 혹 같은 덩어리를 말한다.
그것이 물혹처럼 액체가 들어 있는 경우도 있고, 고형 결절처럼 단단한 혹인 경우도 있다.
의사에 따르면, 갑상선 결절은
“40세 이상 여성의 30%가 가지고 있을 만큼 흔한 이상 소견입니다.”
“그중 대부분은 양성입니다. 즉, 암이 아닌 결절이죠.”
내 결절은 단단한 고형 결절로 보였고, 크기가 1cm를 넘었기 때문에 조직검사를 받아야 했다.
그 이야기를 듣는 순간 머릿속이 멍해졌다.
그저 의무적으로 받았던 정기검진이 ‘혹시 암인가?’라는 걱정으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초음파, 세침검사까지 – 과정을 따라가며 겪은 감정들
갑상선 결절을 확인하는 검사 과정은 간단하지만 그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은 결코 단순하지 않았다.
초음파 검사는 누워서 목에 젤을 바른 뒤 검사기를 대고 5~10분 정도 진행된다.
의사는 결절의 크기, 모양, 경계, 석회화 여부, 혈류 흐름 등을 체크한다.
내 결절은 다음과 같았다:
- 크기: 약 1.2cm
- 모양: 약간 비정형
- 경계: 명확
- 내부 석회화 소견 없음
- 혈류 분포 보통
이 소견으로 의사는 말하였다.
“악성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검사를 권합니다.”
그렇게 나는 갑상선 세침흡인검사(FNA)를 받게 되었다.
이 검사는 목 부위의 결절에 아주 얇은 바늘을 찔러 세포를 채취한 뒤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방식이다.
생각보다 통증은 심하지 않았지만, ‘내 몸에서 혹의 조직을 떼어낸다’는 생각이
기분상 그리 유쾌하지는 않았다.

결과는 ‘양성’ – 하지만 끝이 아닌 시작
일주일 후 검사 결과가 나왔다. 다행히도, 내 결절은 양성이었다.
의사는 이렇게 말했다.
“현재로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결절이 자라거나 모양이 바뀌지 않는지
6개월~1년에 한 번은 초음파로 추적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 말을 들은 순간 안도의 한숨이 나왔지만
한편으로는 ‘완전히 끝난 건 아니구나’라는 생각도 들었다.
갑상선 결절은
-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 내부에 석회화가 생기거나
- 혈류가 많아지면
악성 가능성을 다시 판단해야 한다.
즉, 양성 결절이라도 방심은 금물이라는 것이다.
이후 나는 매년 갑상선 초음파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큰 변화가 없고,
결절 크기도 거의 유지되고 있어 다행이다.
정기검진이 아니었으면 몰랐을 병
이번 경험을 통해 나는 정기검진이 단순히 숫자를 확인하는 절차가 아니라,
생명을 지키는 통로일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나는 아무 증상도 없었다.
목이 붓지도 않았고, 삼킬 때 이물감도 없었고, 갑상선 호르몬 수치도 모두 정상이었다.
즉, 완전히 무증상 상태에서 결절이 자라고 있었던 것이다.
이 경험을 주변에 이야기하면 대부분이 이렇게 말한다.
“증상 없었으면 안 가봤을 거야.”
“결절이면 무조건 암 아니야?”
하지만 갑상선 결절은
- 조기 발견 시 대부분 경과 관찰만으로 관리 가능하며
- 악성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너무 겁먹지 말고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증상 갑상선결절에 대한 궁금증
Q1. 갑상선 결절은 위험한가요?
대부분은 양성이며, 악성(암)인 경우는 5% 미만입니다.
초음파와 조직검사로 정확히 감별할 수 있습니다.
Q2. 어떤 경우에 조직검사를 하나요?
1cm 이상이거나 모양이 비정형적인 결절, 혈류가 많거나 석회화가 보이는 경우 시행합니다.
Q3. 양성 결절은 치료가 필요 없나요?
예. 대부분은 경과 관찰로 충분하며, 크기 변화가 없으면 치료 없이도 지낼 수 있습니다.
Q4. 갑상선 결절이 호르몬 이상과 관련 있나요?
호르몬 수치는 별개입니다. 결절이 있어도 기능은 정상일 수 있으며,
필요시 TSH, T3, T4 같은 갑상선 기능 검사도 함께 시행합니다.
'무증상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프지 않아 방치했던 위식도 역류, 식도염 진단기— 배는 멀쩡했지만, 내 목이 먼저 이상하다고 말했다 (2) | 2025.08.05 |
|---|---|
| 소변이 맑아도 방광염일 수 있다? 무증상 방광염 후기— 아무런 증상도 없었는데, 방광에 세균이 있었다 (0) | 2025.07.27 |
| 자주 졸리는 증상이 수면장애일 수 있음을 알게 된 계기— 피곤한 줄만 알았던 나에게 ‘잠’이 문제라고 말해준 병원 (1) | 2025.07.27 |
| 신장이 망가진 줄 몰랐다: 무증상 만성신부전 진단기— 아프지도 않았던 내 몸, 조용히 진행된 신장의 경고 (2) | 2025.07.25 |
| “몸이 무겁다”는 느낌만 있었던 심부전 초기 진단 사례— 피곤함의 원인이 ‘심장’일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0) | 2025.07.25 |